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로저널13

꽃을 그리는 사람들 1 – 반 고흐 한국에는 매년 봄이면, 개나리, 진달래, 산수유와 매화를 비롯해서 벚꽃이 피면서 곳곳에서 꽃축제가 열린다. 그래서 뉴스에서도 전국지역별 벚꽃 개화시기, 만개시기를 보도할 정도다.  4월부터 유채꽃이 제주도를 노랗게 물들였고, 남원, 합천과 단양에서는 연분홍색, 진분홍색, 흰색, 빨간색 등의 철쭉이 그 자태를 뽐내고 있다.  서울에서는 4월 중순 국회 둘레길을 따라 열리는 봄맞이 꽃들의 향연인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송파구 석촌호수 벚꽃축제’ 등이 열렸다. 이 때 코로나로 외출을 자제했었던 사람들이 몰려 나와 봄 향기를 한껏 즐겼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람들은 꽃을 좋아한다. 꽃을 보면 보통 “우와!” “야” 이런 감탄사를 만발하며 우리는 미소를 짓는다. 꽃은 색깔도 모양도 다양하고 예쁘니까 선.. 2024. 7. 31.
이익이 남는 비즈니스는 최고의 예술이다! - 앤디 워홀 8. 워홀의 가장 비싼 작품 6위 - 10위6위. 4명의 말론 : 800.4억($69.6m)여기서 말론은 영화배우 말론 브란도다. "나는 지루한 것을 좋아한다. 나는 똑같은 것들이 계속 반복되는 것이 좋다”라는 앤디 워홀의 말처럼, 이 작품에서 사용된 이미지의 반복은 그의 작품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2014년 11월 크리스티 경매에서 6,960만 달러(약 800억원)에 거래되었다.   영화 '욕망 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말론 브란도 5위. 녹색 차 사고 : 824.6억($71.7m)  앤디 워홀은 특히 죽음과 관련된 주제에 굉장히 집착했다. 이것은 그 중 하나의 작품으로 죽음과 재앙(Death and Disaster) 연작 일부이다. 앤디 워홀의 작품 중에 버닝 카 연작은 총 5 작품이 .. 2024. 7. 30.
신뢰와 존중의 관계 – 윤형근과 김환기 ‘더할 수 없는 분노를 주체할 길 없어’  먹물같은 색의 기둥들이 쓰러질 듯 아슬아슬하게 서 있다. 그림 왼쪽에 두 기둥은 오른쪽에 쓰러진 두 기둥을 받치고 있는 것 같기도 한데 웬지 이마저도 곧 쓰러질 듯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모두 꿋꿋히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 버틴다. 그리고 뒤로도 흐린 기둥들도 겹겹이 보인다. 먹을 갈아 만든 것 같은 이 검정에 가까운 색은 작가 윤형근(1928-2007)이 하늘의 색인 ‘블루(Blue)’와 땅의 색인 ‘엄버(Umber)’를 섞어 검게 만든 뒤 거기에 오일을 타서 만든 것이다. 이것을 그는 면포나 마포에 그어 내렸다. 그렇게 해서 하늘과 땅이 섞여 만든 검정이 기둥을 이루고, 그 사이에는 문같은 여백이 조금 생겼다. 윤형근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 2024. 6. 18.
한국화의 두 거장 – 청전 이상범 1 : 한국적 서정성 바쁘고 급변하는 현대 생활 속에서 잠시 벗어나 계곡의 물소리와 새소리를 들으며 고즈넉히 숲 속을 걷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전통 산수화를 한 번 보기를 추천한다.특히 우리 나라의 근현대미술사를 대표하는 거장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과 소정 변관식(小亭 卞寬植, 1899~1976)의 작품을 보고 있노라면 그들만의 고유한 화풍 속에 담긴 독창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우아함과 품위 그리고 고고함마저 느끼게 된다.이들은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등 조선시대 대가들의 전통 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들만의 고유한 양식을 구축하여 20세기 한국 산수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 청전 이상범(靑田 李象範, 1897~1972) 1) 한국적 서정성  이것은 한국적인 서정성이 잘 녹아져 있다고 평.. 2024. 6. 2.
멘토를 찾아서 1.지칠 줄 모르는 한류의 인기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음식, 그리고 예술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영국에서도 한류 문화 열풍을 느낄 수 있는데,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이하 문화원)에서는 지난 5월 1일(수) 영국 중부 지역 셰필드(Sheffield)에서 “더 신나게”를 주제로 ‘셰필드 한국의 날(Korea Day in Sheffield)’ 축제를 개최했다. 영국 중부 지역 주민 약 400여 명이 참석해서, 한국어 영상대회, k-pop 및 태권도 시범, 다양한 한국문화 체험을 즐겼다.    올해로 벌써 6회를 맞은 ‘셰필드 한국의 날’ 축제에 이어6월 1일에는 리버풀, 6월 8일에는 옥스퍼드, 그리고 6월 13일부터 14일에는 리즈에서 한국.. 2024. 6. 2.
삶의 가벼움과 참을 수 없는 무게 - 리처드 세라를 추모하며 1 1. 리처드 세라와 작품, 그리고 우리 유연하고 부드럽게리처드 세라는 193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나1957년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후, 1961년부터 1964년까지 예일대학에서 미술 수업을 받았다. 공부하는 동안 그는 생활비와 학비를 벌기 위해 제철소에서 일을 했다. 돈을 벌고자 시작했던 이 파트 타임 경험이 이후 자신의 납이나 철 작품 활동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줄 그때는 몰랐을 것이다.   작품 활동을 처음 시작했을 때 그는 고무와 네온관과 같은 재료로 추상조각 작품을 만들었다. 또한 용해한 납을 이용해 재료 자체의 모양이 그대로 표면에 드러나도록 하는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작품은 4개의 철판들을 바닥 위에 아슬아슬하게 서로 기댄 채 세워놓은 것이다. 그저 상자처럼 보이.. 2024. 5. 1.